collections 모듈은 기본적으로 파이썬에 내장되어있는 내장함수다.
리스트나, 문자열의 요소에 대한 개수를 구할때 반복문으로도 구할 수 있지만[내가 그렇게 문제 풀다가 아주그냥 그대로 터져버림]
counter 함수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.
그리고 가장 높은빈도(frequency)로 등장되는 값 (최빈값)을 구하는 most_common함수도 있습니다.
예를들어 [-1,-1,3,-2,-2] 이렇게 나온다면,
Counter().most_common()
을 사용하면
[(-2, 2),(-1, 2),(-3, 1)]
이렇게 나온다. 즉 빈도수를 측정해주는데, 애초에 Counter 함수가 딕셔너리 형태로 나오므로, 빈도수가 1순위 지만, 리스트
안에 튜플의 첫번째 값을 더 작은 수를 기준으로 정렬된다!
나 처럼 애먼데 알고리즘 이상하게 조건 하나하나 짜지 말고 이런 좋은 함수가 있다는 것을 알고 넘어가자 ㅜㅜ
소수 구하기 복습 [파이썬] (0) | 2022.08.11 |
---|---|
순열과 조합 [파이썬] (0) | 2022.08.05 |
리스트 안에 있는 문자열들을 글자 수 대로 정렬하는 법! [파이썬] (0) | 2022.07.30 |
2차원 배열 정리 [sort] <파이썬> (0) | 2022.07.29 |
[파이썬] 숫자 거꾸로 뒤집기 (0) | 2022.07.15 |